미국 과학자들이 치사율이 80%나 되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를 만들어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당장 바이러스가 실험실 밖으로 유출돼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을 초래할 수도 있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실험 결과를 선정적으로 보도한 것이지 실제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는 반박도 나왔다.
영국 데일리메일지는 지난 17일(현지 시각) “미국 보스턴대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치사율이 80%인 새로운 치명적인 코로나바이러스를 만들었다”고 단독 보도했다. 데일리메일은 기사에 ‘감염병 대유행을 초래할 수 있는 불장난이 벌어졌다’는 제목을 달았다.
보도에 따르면 보스턴대의 국립신종감염병연구소(NEIDL) 연구진이 2020년 초 워싱턴주에서 처음 채집한 코로나바이러스에 최근 유행 중인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돌기(스파이크)를 추가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인체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결합해 침투한다.
실험에 사용한 워싱턴주 바이러스는 중국 우한에서 처음 퍼진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종류였다. 오리지널 코로나바이러스인 것이다. 여기에 오미크론의 스파이크가 나오도록 했더니 실험용 생쥐 10마리 중 8마리가 죽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는 한 마리도 죽지 않았다.
미국 럿거스대의 리처드 에브라이트 교수는 데일리메일에 “이번 연구는 기능 획득 연구의 사례”라고 비판했다. 기능 획득 연구는 생명체의 유전자를 변형해 전염성을 높이거나 감염 가능한 숙주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한 이스라엘 과학자는 이를 두고 데일리메일지에 “불장난을 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무조건 금지됐어야 한다”고 말했다.

보스턴대는 당장 데일리메일 보도에 대해 반박 성명을 발표했다. 연구 결과의 의미를 제대로 보지 않고 일부만 뽑아내 위험성을 과장했다는 것이다.
대학은 먼저 원래 바이러스보다 더 위험하게 만들지 않아 기능 획득 연구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보도대로 새로운 하이브리드 코로나바이러스가 생쥐에서 치사율 80%를 보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하이브리드의 뼈대가 된 오리지널 코로나바러스보다는 덜 치명적이라고 보스턴대는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우한발 바이러스는 생쥐를 100% 죽였다.
보스턴대는 해당 실험은 코로나바이러스를 다룰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 실험실에서 진행됐다고 밝혔다. 유출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했다는 것이다. 또 실험에 쓴 생쥐는 처음부터 코로나바이러스에 잘 감염되도록 변형한 것이어서 실제 사람에 똑같이 적용할 수는 없다고 보스턴대는 밝혔다.
연구진은 생쥐의 호흡기 세포에서 코로나바이러스와 결합하는 수용체가 더 많이 나오도록 유전자를 변형했다. 바이러스도 일부러 코에 주입해 실제와 차이가 난다고 했다. 만에 하나 하이브리드 바이러스가 유출된다고 해도 사람들이 생쥐처럼 당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보스턴대는 당초 연구의 목적은 오미크론이 전염성이 강하면서도 증상은 약한 이유가 스파이크 단백질에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고 밝혔다. 실험 결과 오리지널 바이러스에 오미크론 스파이크를 붙여도 증상이 약해지지 않는다고 나온 것이다. 논문 교신저자인 보스턴대의 모산 사이드 교수는 “앞서 연구와 마찬가지로 이번 연구 결과는 오미크론의 병원성이 스파이크 단백질이 아니라 다른 바이러스 단백질이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KoreaTV.Rad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