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미국 아이비리그 명문 사학인 컬럼비아대가 사상 처음으로 여성 총장을 선임했다. 컬럼비아대는 18일 네마트 미노슈 샤피크 현 런던정경대 총장이 오는 7월 1일자로 제20대 총장에 취임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오는 7월부터는 미 동북부 8개 명문 사학으로 구성된 아이비리그에서 예일대와 프린스턴대를 제외한 6개 대학을 여성 총장이 이끌게 된다. 조너선 라빈 컬럼비아대 의사회 의장은 "미노슈의 뛰어난 점은 세상의 가장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헌해야 한다는 고등 교육기관의 중대한 역할에 대해 확고부동한 신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난 샤피크 총장은 4살 때 부모를 따라 미국으로 이주해 매사추세츠대 애머스트 캠퍼스에서 경제학과 정치학을 전공한 뒤 런던정경대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옥스퍼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세계은행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그는 36살 때 최연소 세계은행 부총재에 올랐고, 이후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영국 국제개발부 사무차관에 발탁됐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을 거쳐 지난 2017년부터 런던정경대를 이끌고 있다. 런
KoreaTV.Radio Steven Choi 기자 | 올해 대학 입학 지원자가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급증했다. 전국 850여개 대학에서 입학전형을 위해 사용하는 공통지원서(Common Application)가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2022~2023년 대입전형 지원서를 제출한 고교 12학년은 74만8,118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2020년 대입전형 지원자 59만2,471명에 비해 26%나 늘어난 수치다. 이처럼 대입 지원자가 늘어난 것에는 SAT 등 시험 점수 제출 의무가 사라진 것이 한 요인으로 꼽힌다. 공통지원서에 따르면 올해 전국 대학의 4%만이 대입전형에서 SAT 또는 ACT 점수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2019~2020년 입학전형 당시 지원자의 78%가 시험 점수를 제출했지만, 2022~2023년 입학전형에서는 시험 점수를 제출한 지원자 비율이 48%로 크게 낮아졌다. 최근 대학가에서는 입학 사정 시 SAT 등 다양한 입학 자격시험을 반영하지 않는 학교들이 늘고 있다. 최고 명문사학으로 꼽히는 하버드대는 대학입학자격시험(SAT)과 대학입학학력고사(ACT) 점수 대신 고등학교의 각
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UC버클리에서 개설한 방탄소년단(BTS) 관련 수업이 매번 조기 마감을 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대학 뉴스 전문 웹사이트 ‘스터디인터내셔널은’ UC버클리가 지난 2019년 봄 학기부터 개설한 ‘넥스트 제너레이션 리더스: BTS(Next Generation Leaders: BTS)’ 사회학 수업이 학기마다(30명 정원) 등록이 마감될 정도로 인기라고 12일 보도했다. 이 수업은 UC버클리대 소속 학생들이 직접 수업 또는 강좌를 개설하도록 하는 ‘디캘(De Cal)’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2학점짜리 과정이다. 사회학 관련 수업으로 개설됐으며 매주 월요일(오후 7~9시)마다 진행된다. 수업 책임자 중 한 명인 브랜든 린 학생은 “학문적 시각을 통해 BTS의 영향력이 문화, 언어, 정체성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관찰하고 정의하는 과정”이라며 “수업은 강의, 비디오 자료 시청, 그룹별 토론 등으로 구성된다”고 말했다. UC버클리 수업 웹사이트(www.nextgenbts.wixsite.com/decal)에 따르면 현재 가을학기 수업 등록을 받고 있다. 현재는 대면 수업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점차 온라인 강의로도 확장해나
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프린스턴대가 가족 소득이 10만 달러 이하인 학생에 대해 등록금과 기숙사 등 학비를 전액 지원하기로 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8일 보도했다. 프린스턴대는 원래 소득 6만5천 달러 이하 학생의 학비를 전액 지원했는데 그 대상을 확대한 것이다. 또 소득이 10만 달러를 넘더라도 30만 달러까지는 소득 수준에 따라 학비를 차등 지원하기로 했다. 새 제도는 내년 가을 학기부터 시행하며 프린스턴대 전체 학부생의 4분의 1 이상이 혜택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WP는 전했다. 아무런 재정 지원을 받지 않을 경우 프린스턴대의 올해 학비는 등록금, 식사, 기숙사, 기타 비용 등을 포함해 총 7만9천540달러로 추산된다. 4년이면 30만 달러가 넘는다. 이 같은 정책은 프린스턴대가 세계에서 가장 재정적으로 안정된 대학 중 한 곳이기에 가능하다. 프린스턴대가 작년에 받은 기부만 370억 달러가 넘는다. 프린스턴대의 정책은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려고 경쟁하는 다른 명문대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현재 하버드, 예일, 스탠퍼드대는 소득이 7만5천 달러 이하인 경우 학비 전액 지원이 가능하다고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 교육 전반
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연방 정부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24일 발표한 대학 학자금 탕감 조치에 대한 신청을 오는 10월부터 받는다.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백악관 경제 자문위의 바랏 라마머티 부디렉터는 지난 26일 기자들에게 “연방 교육부는 탕감 조치에 대한 신청서를 오는 10월 초 웹사이트에 게재한다”고 밝혔다. 라마머티 부디렉터는 “탕감 대상자들은 오는 11월15일까지 신청을 마쳐야 탕감 금액이 삭감되거나 완전히 없어진다”고 말했다. 신청 후 탕감조치까지는 4-6주가 걸릴 것으로 예상됐다. 개인인 경우 12만5,000달러, 부부인 경우 25만달러 미만의 소득자는 1만달러까지 탕감을 받을 수 있다. 저소득층에게 주는 펠 그랜트 수혜자는 2만달러까지 탕감받을 수 있다. 또한 소득정보가 이미 연방 교육부에 저장된 약 800만명은 별도의 신청을 할 필요가 없다. 백악관은 이번 탕감 조치 대상자의 90%가 7만5,000달러 미만을 벌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학자금 탕감 대상자는 StudentAid.gov/DebtRelief 에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과 읽기 실력이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인 대유행) 이후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31일 공개된 전국 학업성취도평가(NAEP) 결과 9살에 해당하는 4학년 학생들의 수학과 읽기 점수가 이 평가가 시행되기 시작한 1970년대 이래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올해 읽기 시험의 평균 점수는 500점 만점에 215점으로 직전 시험인 2020년 초반 NAEP에 비해 5점 떨어졌다. 수학 평균 점수는 2년 전보다 7점 하락한 234점에 머물렀다. 이 같은 결과는 읽기의 경우 1990년 이래 최대폭 하락이고, 수학의 경우 NAEP가 시작된 1971년 이래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4학년들의 성적이 20년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면서, 팬데믹이 지난 20년간 수학과 읽기에서 축적된 성과를 지운 셈이라고 평가했다. 소위 '전국 성적표'(Nation's Report Card)로 불리는 NAEP는 미국 50개 주 4학년과 8학년을 대상으로 독
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UC 대학을 졸업한 한인 박사들이 아시안 인구 중 중국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사 학위 수여자도 한인을 포함한 아시안 학생이 백인을 제치고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UC 시스템이 공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0~21학년도 박사 학위 수여자 3,396명 중 한인 박사는 총 96명으로 아시아계 중에서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중국계 박사 학위 수여자는 540명으로 집계됐다. 다만 한인 박사 학위 수여자는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2018~19 학년도에는 110명의 한인 박사 학위 수여자가 있던 반면 이후 2019~20학년도 104명, 2020~21학년도 96명으로 졸업생 수가 떨어졌다. 한인 뿐만 아니라 인도계, 일본계, 필리핀계, 베트남계 등 타 아시아계 박사 학위 수여자도 지난 3년간 감소세를 기록했는데, 이와 같은 감소 현상에는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도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백인 학생들의 경우에도 박사학위 수여자는 최근 3년간 줄어들었다. UC 계열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절반 이상은 백인(51.5%, 1,750명)으로 나타났고, 아시아계 박사 학위 졸
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미국에서 자녀 한 명을 대입 전까지 키우는 데 4억 원이 들어간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19일 월스트리트저널(WSJ), CNN방송 등이 보도했다. 매체는 미 싱크탱크인 브루킹스 연구소의 보고서를 인용해 40년 만에 최고치에 육박하는 물가 상승률 때문에 이 같은 계산이 나왔다고 밝혔다. 브루킹스 연구소에 따르면 미국에서 자녀 두 명을 둔 중산층 부부가 2015년생 둘째를 만 17세까지 키우는 데 총 31만605 달러(약 4억1천800만 원)가 들어간다. 연간 1만8천271 달러(약 2천460만 원)가 자녀 양육에 들어가는 셈이다. 급격한 물가 상승이 미국을 강타하기 전인 2년 전보다 9%(2만6천11 달러·약 3천500만 원) 이상 오른 것이기도 하다. 브루킹스 연구소는 이를 미 농무부의 2017년 자료를 바탕으로 계산했다. 자녀 양육비에는 주거, 식량, 의류, 의료 비용 등이 포함됐으며 특히 유년기 기저귓값, 댄스 강습료, 스포츠 용품비 등도 포함됐다. 대학 등록금과 학비는 포함되지 않았다. 브루킹스 연구소는 기록적인 물가 상승률이 양육비를 극적으로 증가시켰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동월 대비로
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조 바이든 행정부는 24일 1인당 최대 2만 달러(약 2천700만 원)의 대학 학자금 대출을 탕감해주기로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연설을 통해 이런 방침을 밝혔다. 미 정부는 소득액 12만5천 달러(부부 합산 25만 달러) 미만 소득자의 경우 1만 달러의 학자금 대출을 탕감해주기로 했다. 또 연방 정부의 장학금인 '펠 그랜트'(Pell Grant)를 받은 이들이 융자받은 대출금에 대해서는 2만 달러까지 채무를 면제하기로 했다. 저소득층의 대학 진학을 돕기 위한 제도인 펠 그랜트 수혜자는 약 600만 명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는 현재 가처분소득에서 기본 생활비를 뺀 금액인 재량소득의 10%까지를 학자금 대출 상환액으로 징수할 수 있지만, 이 한도를 5%까지로 낮췄다. 아울러 지금은 대출금을 20년 이상 갚고 잔액이 1만2천 달러 이하일 때 남은 대출금을 탕감할 수 있지만, 이 기준이 되는 상환 기간을 10년으로 단축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3월부터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유예한 제도가 이달 말 종료되지만, 이를 연말까지로 연장했다. 상환 재개 시기를 7번째 연장한
KoreaTV.Radio 이고은 기자 |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미겔 카도나 교육부 장관은 21일 CBS방송 시사프로그램 '페이스 더 네이션'에 출연해 교사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사항은 교사 자격 기준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경쟁력 있는 급여를 지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도나 장관은 이 자리에서 더 많은 교사를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교사 자격 요건을 완화하고 있는 애리조나 주 등의 조치는 "유감스러운 것"이라고 평가하며 "우리 학생들은 현재 더 적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이 배울 필요가 있다. 교사들의 어떤 자격 기준 완화도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 최대의 교원노동조합인 전미교육협회(NEA)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전역에서 부족한 교사와 교직원은 30만명에 달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수업 부담, 물가 급등 시대에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등의 이유로 교단을 떠나는 직원들이 최근 늘어난 탓이다. 이런 까닭에 일부 주는 속속 교원 자격 요건 완화에 나서고 있다. 가령, 애리조나에서는 학사 학위 미소지자들에게도 교사 문호를 개방했고, 플로리다주는 자격증을 갖추지 않았더라도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