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9 (금)

닫기

무역적자 팬데믹 이후 확대…"당분간 지속"

7월 무역적자 650억 달러…2019년 월평균 적자 466억 달러 대비 여전히 커

 

KoreaTV.Radio 박기준 기자 |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확대된 무역적자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 보도했다.
무역적자 폭이 소폭 줄어들면서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에 비해 크게 확대된 상황이며, 당분간 이 상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상무부는 이날 7월 무역적자가 650억 달러(약 87조원)라고 발표했다.
이는 이코노미스트들의 예상치 680억 달러보다는 적은 것이지만 계절 조정된 6월의 무역적자 637억 달러보다는 늘어난 것이다.

다만 6월 무역적자는 애초 발표됐던 655억 달러보다는 하향 조정된 것이다. 그 결과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지난달 발표된 것보다는 조금 더 상향될 수 있으며, 3분기 GDP 성장률도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치보다 양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무역적자는 평균 793억 달러(약 106조 원)에 달했던 지난해보다는 크게 감소한 것이지만 인플레이션 조정을 거치더라도 팬데믹 직전인 2019년 월평균 무역적자 466억 달러(약 62조 원)와 비교하면 여전히 큰 상황이다.

이처럼 적자 폭이 확대된 가장 큰 요인으로는 팬데믹의 영향으로 미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보다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점을 꼽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서비스 부문은 대부분 자국 내에서 생산되지만, 상품은 상당 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지출(물가상승률 감안)이 2019년 4분기보다 17.3%나 높았으며, 소비자들이 여행이나 영화관람 등 활동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음에도 서비스 지출은 5.4%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게다가 미국이 서비스 수출 강국인데, 이 부문의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7월 상품수지는 900억 달러 적자를 기록한 반면 서비스 수지는 250억 달러 흑자에 그쳐 2019년보다 낮았다.

이는 팬데믹으로 소비지출에서 상품 비중이 커지는 등의 행동 변화가 일어난 데 따른 것으로 보이며, 향후 서비스 부문이 회복되겠지만 시간이 필요하고, 그때까지는 무역적자 폭이 과거보다 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미·중 간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중국에서 미국 영화 매출이 팬데믹 이전에 비해 많이 감소하는 등 미국 제품에 가해지는 압박도 한 요인으로 지적됐다.
이밖에 유로 지역 등에서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기 회복이 늦어지고 있는 것과 함께 달러화 가치 강세도 무역적자에 영향을 미쳤다.

향후 글로벌 경제가 정상화되면 무역적자가 줄어들겠지만 이를 위해서는 미·중 간 긴장 완화 등 많은 부분에서 보완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WSJ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