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인공지능(AI) 분야 경쟁으로 '매그니피센트 세븐'(미국의 7대 테크 대기업·The Magnificent Seven) 사이에서도 주가 차별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 분석했다. 테크업계를 주름잡는 대기업들이며 각종 주가지수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마존닷컴(이하 아마존), 알파벳, 애플, 메타플랫폼스(이하 메타),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 엔비디아, 테슬라 등 7개 기업의 주가 흐름이 AI 분야 성과에 따라 크게 갈리는 경향이 최근 뚜렷해졌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주가지수인 S&P 500에서 이들 7개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35%에 이른다. 최근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이 업체들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나머지 493개 S&P 500 기업의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반적 증시 분위기와 비교하면 훨씬 좋다. 이들 중 알파벳을 제외한 6개 업체들은 최근 주가가 향후 1년간 예상 순이익의 25배를 넘었으며, 이는 최근 S&P 500 기업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 22.35보다 높
KoreaTV.Radio 제임스 유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미국이 올해 2분기 추가로 거둬들인 관세가 470억달러(65조3천억원)에 달한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6일 보도했다. 미 재무부가 지난 11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미국의 관세 수입은 640억달러(88조9천억원)로 사상 최대였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470억달러 많다. 그러나 교역 상대국은 미국의 재보복 압박에 보복 조치를 주저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세에 이제까지 대응한 국가는 중국과 캐나다뿐이었고 그마저도 미온적이었다. 중국이 가장 지속적이고 큰 규모로 보복했으나 미국만큼 효과를 보지 못했다. 올해 5월 중국의 전체 관세 수입은 지난해 동월보다 1.9% 늘어나는 데 그쳤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는 4월 중반 145%까지 올라갔고, 이에 5월 중국의 대미 수출은 30% 급감했다. 이후 양측은 제네바 협상에서 90일간 '휴전'에 합의하고 관세율을 낮췄다. 캐나다는 지난 2, 3월 1천550억 캐나다달러(156조9천억원)의 맞불 관세를 부과했지만 미국의 압박에 몇 주 만에 후퇴했다. 마크 카니 총리는 최근 미국과 무관세 무역 합의를 맺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그동안 AI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중론을 보여왔던 미국 재계에서도 일자리 대체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다. 2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자동차업체 포드의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한 인터뷰에서 "AI가 말그대로 미국 사무직 노동자의 절반을 대체할 것"이라면서 "많은 사무직이 뒤처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실리콘밸리가 아닌 미국 대기업 CEO들의 발언 중에 가장 날카로운 수준이라고 WSJ은 평가했다. 실리콘밸리 밖에서는 AI발 실업에 대해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발언이 드물었고, 혁신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난다는 식으로 피해 가곤 했다는 것이다. 대기업 CEO들은 그러면서도 사석에서는 인건비 축소에 대해 말해왔고 자동화 소프트웨어와 AI, 로봇 등을 활용해 업무 효율화 작업을 해왔다. AI에 대한 CEO들의 평가는 주간 단위로 바뀔 정도로 빠르다는 게 WSJ 설명이다. 대형 은행 JP모건체이스의 커뮤니티비즈니스 부문 CEO인 메리앤 레이크도 AI 도입으로 향후 몇 년간 운영 부문 인력이 10% 줄어들 수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가상화폐 엑스알피(XRP·리플) 발행사인 리플랩스가 미국 연방 당국인 통화감독청(OCC)에 은행업 인가를 신청하며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랩스 최고경영자(CEO)는 2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리플이 OCC에 국내 은행 인가(national bank charter)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승인되면 우리는 주(州)와 연방 감독을 모두 받게 된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신뢰성을 나타내는 새롭고 특별한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갈링하우스 CEO는 또 최근 자회사인 '스탠더드 커스터디 앤드 트러스트 컴퍼니'를 통해 연방준비제도 마스터(Federal Reserve master) 계좌를 신청했다면서 이로써 리플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RLUSD'의 준비금을 연방준비제도(Fed)와 함께 직접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천500억달러(약 340조원)가 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RLUSD는 규제를 최우선으로 두고 기관들이 기대하는 기준을 설정한다는 점이 돋보인다"고 강조했다. 리플의 이런 행보는 자사의 스테이
KoreaTV.Radio 권성준 기자 | 고급 파인다이닝 레스토랑부터 길거리 간식까지, 세계 각국의 음식이 모인 미국에서 한식은 이제 어디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대세'로 떠올랐다. 지난 달 30일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이제 미국 어디에나 한국 음식이 있다"며 최근 커지고 있는 미국 내 한식의 인기를 조명했다. 이 매체는 치킨과 김치, 바비큐 소스 등으로 미국 소비자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한식은 최근에는 고급 파인다이닝 식당부터 길거리 간식까지 점점 더 다양한 분야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고 전했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최근 미국 내 한식당 중 처음으로 세계적 미식 평가서인 '미쉐린 가이드'의 최고 등급인 3스타를 받은 '정식 뉴욕'(Jungsik New York) 등이 있다. 이곳을 운영하는 임정식 셰프는 최근 요식업계의 아카데미상으로도 불리는 '제임스 비어드상'에서 최고상에 해당하는 '뛰어난 요리사' 상을 받았다. 또 다른 뉴욕의 인기 한식당인 '아토믹스'는 '뛰어난 접대' 상을 받았으며, 한국계 파티시에들이 운영하는 포틀랜드의 디저트 매장 '진주 파티세리'는 '뛰어난 베이커리' 부문을 수상하는 등 한식의 영향력을 입증했다. 고급 식당에서 뿐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