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 일부 완화·유동성 공급 효과 아직 없어중국 당국의 초강력 규제에 따른 부동산 시장 침체가 올해 들어서도 지속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중국 부동산 정보 업체 커얼루이(克而瑞)부동산연구센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29개 중점 도시의 주택 거래 면적은 작년 동기와 전월 대비 각각 46%, 37% 감소했다. 이 가운데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를 일컫는 4대 '1선 도시'의 주택 거래 면적도 작년 동기와 전월 대비 각각 38%, 21% 준 것으로 조사됐다. 커얼루이부동산연구센터는 보고서에서 "1월 부동산 시장의 시작이 참담한 수준"이라며 "2022년 부동산 기업의 자금 조달 환경은 더욱 엄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선전시 부동산 거래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선전시의 1월 중고주택 거래량은 작년 동월보다 70% 이상 하락한 1천557채에 그쳐 최근 10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이런 통계치는 급랭한 부동산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으려는 중국 당국의 노력이 아직 구체적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중국 당국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 시대를 선언할 올해 가을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경기 급랭을 막고자 부동산 규제를
저소득층 학자금 대출 중 생활비 대출이 등록금 대출보다 많아 저소득층 대학생 학자금 대출 규모가 최근 5년간 2조8천여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대학생은 최근 등록금보다 생활비 명목으로 학자금 대출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7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한국장학재단에서 받은 '학자금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전체 소득 10분위 중 3분위 이하 저소득층의 학자금 대출 규모는 2조8천802억원이었다. 5년간 전체 학자금 대출 6조4천325억원 중 절반에 가까운 44.8%가 3분위 이하 저소득층의 대출이었다. 특히 소득 1분위의 학자금 대출은 1조2천406억원으로 전체의 19.3%를 차지했다. 이어 소득 2분위가 11.6%(7천441억원)로 두번째였다.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4∼7분위의 5년간 학자금 대출은 1조9천203억원으로 3분위 이하의 66.7% 수준이었다. 고소득층인 8∼10분위의 대출은 1조4천610억원으로 3분위 이하의 절반가량이었다. 연간 학자금 대출 규모는 2017년 1조3천272억원에서 2021년 1조1천594억원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3분위 이하 저소득층 학자금 대출 역시 같은 기간 7
가공식품 4.2%↑, 7년5개월만의 최고 상승률 근원물가 3.0%↑…"대내적 물가 상승세도 견고해져" 지난달 외식물가가 일제히 오르면서 약 1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재료비와 최저임금 인상 등 공급측 요인에 더해 수요 회복이 맞물리면서 오름세가 가팔라진 것인데, 당분간 이런 상승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1월 외식 물가지수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5.5%로 2009년 2월(5.6%) 이후 12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갈비탕(11.0%), 생선회(9.4%). 소고기(8.0%) 등을 비롯한 39개 외식 품목 물가가 일제히 1년 전보다 올랐다. 서민들이 즐겨 찾는 김밥(7.7%), 햄버거(7.6%), 설렁탕(7.5%), 라면(7.0%), 짜장면(6.9%), 치킨(6.3%), 삼겹살(5.9%), 돈가스(5.7%) 등의 물가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해까지 인상이 억제됐던 커피마저 올해 1월에는 작년 같은 달보다 1.6% 올랐다. 천소라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은 "식자재 가격 급등 영향이 외식 가격 전반으로 퍼졌
수출 타진 10여년 만에 성과…한국 포함 운용국 9개국으로 늘어호주 수출 금액의 2배 수준…우뚝 선 'K-방산' 경쟁력 재확인막판까지 '손에 땀을 쥐게 한' 국산 K-9 자주포의 2조원대 이집트 수출이 마침내 성사됐다. 한국의 방위산업인 'K-방산'의 세계적인 경쟁력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방위사업청은 1일(현지시간) 한화디펜스가 현지 포병회관에서 이집트 국방부와 양국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K-9 자주포 수출계약에 최종 서명했다고 밝혔다. 계약금은 지난달 호주와 체결한 K-9 자주포 수출금액(1조원대)의 약 2배 수준인 2조원 이상이다. 이는 K-9 자주포 수출 규모 중 역대 최대라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우리 군이 2000년 실전 배치해 운용 중인 K-9 자주포는 사거리가 40㎞에 달하고 1분당 6발을 쏠 수 있다. 최대속력도 시속 67㎞를 넘어 신속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번 수출로 K-9 자주포는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에 이어 중동·아프리카 지역 첫 진출이라는 성과를 냈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운용국이 이집트까지 9개국으로 늘어나면서 '명품 무기체계'라는 기술력도 인정받게 돼 향후 다른 국가로의 수출에도 탄력이 붙을
美, 인권문제로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삼성도 마케팅 최소화 기조도쿄올림픽 때는 한일갈등 고려해 국내홍보 '0건'…마케팅효과 못누려 손해국내 유일한 올림픽 공식 후원사인 삼성전자[005930]가 도쿄올림픽에 이어 베이징올림픽에서도 올림픽을 둘러싼 외교적 갈등 상황으로 인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한일 갈등 속에 지난해 열린 도쿄올림픽 당시 국내 여론을 고려해 관련 홍보 활동을 최소화했는데 곧 개막하는 베이징올림픽에서도 미국을 중심으로 '외교적 보이콧'이 결정되면서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다. 올림픽을 둘러싼 갈등 속에 난처해진 삼성전자는 홍보 활동을 최소화하고 무선·컴퓨팅 분야 올림픽 공식 후원사로서의 기본적인 역할에만 집중하는 모습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달 4일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현지에서 올림픽 후원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플래그십 폴더블폰 모델인 갤럭시Z플립3 베이징올림픽 에디션을 출시하고, 현재 올림픽 선수촌에서 베이징올림픽 참가 선수 전원에게 지급하는 중이다. 아울러 쇼트트랙 한국 국가대표 최민정 선수와 중국 피겨스케이팅 선수 펑청(Peng Cheng) 등 각국 주요 선수들
연준, 돌연 매파로 변신해 공격적 통화긴축 예고 인민은행, 두 달 연속 금리 인하하며 경기부양 의지 세계 경제의 양대 축인 미국과 중국의 중앙은행이 '신속한 움직임'을 천명했으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은 다음 달 통화정책 회의를 앞두고 미국의 강한 긴축 움직임에 어떤 결정을 내릴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파월 "민첩할 필요 있어"…매파로 변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2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묻는 말에 "겸손하고 민첩할"(humble and nimble)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는 연준이 2015년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할 때 시장에 "단지 점진적"(only gradual)으로 올릴 것으로 예고한 것과 사뭇 다른 어조다. 파월 의장은 최근 들어 '민첩한' 입장 변화를 보여 왔다. 지난해 인플레이션이 고공행진을 거듭할 때마다 이는 '일시적'(transitory) 현상일 뿐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다가 그해 11월 30일 미 의회에 출석해 돌연 매파적(통화긴축적) 모습으로 전
LG생건 90만원대로 추락…'마지막 황제주' 태광산업도 100만원 '흔들' 최근 주식시장이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주당 가격이 100만원을 넘는 이른바 '황제주'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표적 황제주였던 LG생활건강[051900]은 지난달 10일 95만6천원으로 마감하며 2017년 10월 12일(종가 97만5천원) 이후 4년 3개월 만에 100만원을 밑돌았다. 작년 4분기 어닝쇼크(실적 충격) 우려에 증권가에서 줄줄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 가운데 1월 10일 하루에만 주가가 13% 이상 폭락했다. LG생활건강은 이후 등락을 거듭했으나 아직 100만원 문턱은 다시 넘지 못했다. 최근 거래일인 지난달 28일 종가는 97만5천원이다. 특히 LG생활건강이 일부 증권사 연구원들에게 지난해 4분기 실적 내용을 공시 전 미리 전달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불거지며 악재로 작용했다. 이에 LG생활건강은 "4분기 전체 실적에 대한 가이드 제공은 없었다"면서도 "면세점 채널에 한해 당사 가격 정책에 따라 12월 면세점 매출이 일시적으로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에게 전달했다"고 공시했다.
LA 평균 $4.70·OC $4.65 전년 대비 $1.21달러 높아 남가주 개솔린 가격이 최근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운전자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30일 남가주자동차클럽(AAA)과 유가정보업체(OPIS) 등에 따르면 이날 현재 LA 카운티 지역 셀프 주유 레귤러 개솔린 평균 가격은 갤런 당 4.7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27일 기록한 LA 카운티 역대 최고가 기록인 4.72달러에 비해 불과 2센트 낮은 수준이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1달러나 높은 수준이다. 전월 대비로는 0.7센트 낮다. 또 이날 현재 오렌지카운티(OC) 지역의 셀프 주유 레귤러 개솔린 평균 가격은 갤런 당 4.65달러를 기록, 지난해 11월 26일 기록했던 역대 최고가인 4.69달러에 비해 불과 4센트 낮은 수준이다. OC 개솔린 가격도 여전히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0달러 높은 수준이다. 전월 대비로는 0.6센트 낮은 수준이다. 남가주 개솔린 가격은 연방정부의 비축유 방출 결정 등 정부의 가격 인하 노력에도 불구하고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전년 대비 1달러 이상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직장 출퇴근과 학교 개학 등 경제봉쇄 해제로 자동차 운전이 늘었지
국회도서관 팩트북…"국내 콘텐츠 강화·제도 정비 필요"오는 2030년 '메타버스' 시장 규모가 글로벌 경제의 2%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31일 나왔다. 국회도서관이 최근 발간한 팩트북 '메타버스' 편에 따르면 글로벌 회계 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시장 규모가 2030년 1조5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81% 수준이다. 메타버스 관련 시장 규모를 정확하게 조사한 자료는 없으며 통상 VR과 AR 시장을 통해 유추한다. 2030년 가장 큰 관련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이는 국가로는 미국이 꼽혔다. 미국은 5천370억 달러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230만 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1천833억 달러)과 일본(1천432억 달러), 독일(1천36억 달러), 영국(693억 달러)이 그 뒤를 이었다. PwC는 AR 시장이 VR 시장보다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VR과 AR 기술 발달에 따라 세계적으로 2천30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관측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메타버스 시장 육성을 위해 필요한 과제로 ▲ 기기 개발·보급 및
이엠텍 상향률 30%로 가장 높아 진에어·LG생건·LG화학 큰 폭 하향 새해 들어 증시 한파 속에도 증권사들은 전자 관련 부품 종목의 목표주가를 올려 잡고 있다. 반면 진에어, LG생활건강, LG화학 등의 목표주가는 큰 폭으로 낮아졌다. 3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27일 기준 증권사 3곳 이상이 목표주가를 제시한 코스피·코스닥 상장 기업 285개 중 작년 12월 31일 대비 목표주가가 상승한 종목은 75개였다. 하락한 종목은 160개였고, 나머지 50개는 이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중 목표주가 상승 폭이 가장 큰 곳은 스마트폰 부품 및 전자담배업체인 이엠텍이다. 증권사가 제시한 적정 주가 평균은 작년 12월 31일 3만6천567원에서 이달 27일 4만7천667원으로 30.36% 올랐다. 전자담배 신규 고객사 확대에 따라 제품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이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이 외에도 메리츠화재(18.83%), 이녹스첨단소재(15.91%), LG이노텍(12.01%) 등의 목표주가가 10% 이상 상승했다. 메리츠화재는 공격적인 자사주 매입·소각 정책과 2월 모건스탠
올해 배당수익률 2.29%…25개국 중 17위로 상승 전망한국 코스피의 작년 배당 수익률이 세계 주요국 중 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중위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31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금융데이터업체 레피니티브 IBES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에 편입된 25개국 주요 지수의 배당 수익률을 집계한 결과, 작년 배당 수익률은 우리나라가 1.52%로 인도(1.19%), 터키(1.28%)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필리핀(1.53%), 프랑스(1.89%), 미국(1.94%), 일본(1.97%) 등 국가들도 배당 수익률이 한국보다 높았지만 2%에는 못 미쳤다. 지난해 배당 수익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러시아로 5.98%에 달했고, 스페인(4.54%), 포르투갈(4.14%)이 그 뒤를 이었다. 각국 증시 배당 수익률은 최근 3년간 지속해서 낮아졌다. 한국 배당 수익률을 보면 2019년 2.38%, 2020년 2.21%, 2021년 1.52% 등으로 해마다 떨어졌다. 문남중 대신증권 해외투자전략팀장은 "최근 3년간 각국 증시의 배당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떨어졌다"며 "이는 코로나19 사태로 기업 이윤이 줄어든 상황에서 상장사들이 배당보
카카오페이 222만주·카카오뱅크 1천326만주 풀려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323410], 크래프톤[259960] 등 대형 공모주들의 기관 투자자 보유 물량이 설 연휴 이후 대규모로 풀릴 예정이다. 이들 주식의 기관 투자자 보유 물량 중 설 연휴 이후 보호의무 기간이 종료되는 물량의 매매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다음달 3일 카카오페이가 상장 3개월을, 6일 카카오뱅크와 10일 크래프톤이 상장 6개월을 맞아 각각 의무보유 기간을 마친 물량이 시장에 나온다.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최근 투자심리가 악화한 종목들이어서 대규모 물량 출회로 주가가 요동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당장 카카오페이는 설 연휴 직후인 내달 3일 기관 보유 물량 중 222만2천87주가 시장에 새로 풀린다. 이는 기관 투자자가 공모 당시 3개월 의무보유를 확약한 수량으로 기관 배정 총 935만주의 23.8%에 해당한다. 카카오페이 전체 주식 수 대비로는 1.68%다. 기관 투자자는 공모주를 많이 배정받는 조건으로 상장 이후 일정 기간 공모주를 의무 보유하기로 확약하는데, 의무 보유 기간이 끝나고 물량이 시장에 풀리면 주가에 악재로 작용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