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투데이] 인공지능(AI) 챗GPT(ChatGPT, 오픈AI가 공개한 초거대 인공지능 기반 챗봇)로 시작된 AI 열기가 블록체인 업계까지 전해지고 있다.
최근 트론(Tron) 창업자 저스틴 선(Justin Sun)은 트론이 AI 관련 첫 번째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챗GPT를 위한 탈중앙화 결제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AI를 접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AI와 접목된 대체불가능토큰(NFT)도 눈에 띈다.
업계 전문가들은 향후 웹3.0 비즈니스에서의 블록체인은 AI를 고도화하고 부작용을 해소하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업계의 전망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자.
챗GPT가 꼽은 ‘AI 연관 웹3 비즈니스’, 블록체인과 ‘접점’ 높아
오픈 AI가 개발한 AI 챗봇 ‘챗GPT’가 돌풍을 일으킨 가운데,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AI와 접점이 큰 웹3 프로젝트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픈AI 측은 “AI와 웹3 기술의 관계는 복잡하고 다면적이다”고 밝히며, AI 기술과 관련성이 높은 웹3 비즈니스로▲오션 프로토콜(Ocean Protocol·OCEAN) ▲뉴메레르(Numeraire, NMR) ▲싱귤래리티넷(SingularityNET, AGIX) ▲클레로스(Kleros, PNK) 등을 꼽았다.
오션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AI 및 머신러닝 앱에서 데이터 토큰을 사용해 데이터에 접근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형 데이터 교환 플랫폼’이다. 유틸리티 토큰으로는 오션(OCEAN)이 사용된다. 뉴메레르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AI를 통해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헤지펀드 소프트웨어’다. NMR 토큰을 예치해 시장 흐름을 예측하고 전망치에 부합했을 시 이에 대한 리워드를 얻을 수 있다.
이어 싱귤래리티넷은 누구든 AI 서비스를 만들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모든 사용자가 쉽게 이용 가능한 ‘범용인공지능’을 구성하는 것이 목표다. 클레로스는 AI와 게임이론을 활용해 공정한 방식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분권형 플랫폼’이다.
챗GPT는 “이외에도 AI와 관련성이 있는 기타 웹3 사업체들이 있을 수 있다”며 “구체적인 연관성은 사용 사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웹3 대중화가 실현될 시점에 대해서는 “신기술의 채택 속도는 기술 성숙도, 사용자 경험, 규제 환경 및 전반적인 시장 수요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면서, "언제 대중화가 이뤄질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다.
한편, 챗GPT는 “일부 전문가들은 이미 탈중앙화금융(DeFi) 및 NFT 등 특수 영역에서 웹3 채택의 초기 징후를 발견하고 있다”며, “향후 몇 년 동안 웹3 기술은 더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