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세계 시총 1위 기업 엔비디아가 또 사상 최고 실적을 갈아치우며 '인공지능(AI) 거품' 논란을 일축했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AI 선순환 구조에 진입했다"고 선언했다.
엔비디아는 자체 회계연도 3분기(8∼10월)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2% 증가해 사상 최대인 570억1천만 달러(약 83조4천억원)를 기록했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전망치 549억2천만 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66% 늘어나 사상 최대인 51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매출의 90%에 육박하는 규모이며 역시 시장 전망치 486억2천만 달러를 상회했다.
게임 부문은 43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0% 늘어났지만, 지난 분기와 견줘서는 1% 감소했다.
전문가용 시각화 부문과 자동차·로봇공학 부문 매출은 각각 7억6천만 달러와 5억9천만 달러였다.
주당 순이익(EPS)은 1.3달러로, 역시 시장전망치 1.25달러를 넘어섰다.
엔비디아는 이런 성장세가 4분기(11월∼내년 1월)에도 이어져 매출액이 65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시장 전망치 616억 6천만 달러를 뛰어넘는 수치다.
엔비디아가 계속해서 사상 최고 성과를 낸 데는 인공지능(AI) 관련 투자가 계속 이어지면서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아키텍처인 '블랙웰'의 높은 수요가 계속 이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실적과 함께 낸 성명에서 "블랙웰 판매량은 차트에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고, 클라우드 GPU는 품절 상태"라며 "AI 생태계는 급속히 확장 중이며 더 많은 모델 개발사와 더 많은 AI 스타트업이 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영화 제목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앳 원스'에 빗대 "AI는 모든 곳에 침투해 모든 일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컨퍼런스 콜에서 "AI 거품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만, 우리 관점에서는 전혀 다른 모습이 보인다"며 클라우드 기업들 사이에서 자사 칩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매우 높다고 밝혔다.
그는 블룸버그 통신에 "우리는 공급망을 매우 철저히 계획했기 때문에 판매할 블랙웰 칩 물량은 다수 확보됐다"고 설명하면서 공급 부족 때문에 매출이 제한될 우려는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그는 중국 시장에서의 칩 판매 전망은 여전히 "제로"라면서 미국·중국 정부를 설득해 재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일부 금융 분석가들은 이번 실적 발표가 거품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엔비디아가 오픈AI나 앤트로픽 등에 투자를 하고, 이들이 다시 투자받은 돈으로 엔비디아의 칩을 사들이는 소위 '순환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매출의 61%가 4대 주요 고객사에서 발생해 이들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우려를 자아내는 요소다.
엔비디아는 이들 주요 고객사가 어디인지 밝히지 않았지만, 대부분 거대 기술기업이나 주요 AI 모델 개발사일 것으로 추정된다.
영화 '빅쇼트'의 실제 모델인 마이클 버리 등 일부 투자자는 이들 거대 기술기업이 엔비디아 칩을 비롯한 장비의 감가상각 기간을 연장해 인위적으로 수익을 부풀리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킹가이 챈 서밋인사이트 분석가는 "실적과 전망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투자자들은 고객사의 자본 지출 증가가 얼마나 지속될 수 있는지와 AI 분야 순환 거래에 대해 계속 우려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이날 실적 발표 이후 엔비디아 주가는 거품 논란을 불식한다는 듯 날아올랐다.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정규장에서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해 전일 종가대비 2.85% 오른 186.52달러에 마감했으나, 실적 발표 이후 애프터마켓에서는 5% 이상 추가 상승해 미 동부시간 기준 오후 8시 현재 196달러선을 기록하고 있다.
경쟁사 AMD와 구글 모회사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다른 AI 관련주들도 엔비디아의 호실적에 힘입어 주가를 끌어올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