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올해 새로 설치하는 태양광 발전시설 규모가 연간 기준 역대 최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중국태양광업협회(中國光伏行業協會·CPIA)가 23일 밝혔다. 블룸버그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왕보화(王勃華) CPIA 회장은 올해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태양광 발전 용량이 75∼90기가와트(GW)에 이를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새로 설치된 중국 태양광 발전시설은 54.93GW 규모로 역대 최대의 연간 증설량이었는데, 올해 증설량은 이보다 최소 37%에서 최대 64%까지 늘어난다는 것이다. 중국의 지난해 말 기준 태양광 발전능력은 총 306GW에 달했다. 왕 회장은 관련 원자재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당국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서부 사막 지역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시설이 계속 들어서고 있고 지붕 설치용 태양광 발전시장도 강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고비사막 등 서부 사막지대에서 100GW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를 건설하고 있다. 그는 2025년까지 태양광 발전 연평균 증설량이 중국은 83∼99GW, 전 세계는 232∼286GW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통상추진위 열고 우크라이나 사태 동향 점검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 13개사의 주재원 43명이 대피를 완료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러시아에 진출한 국내기업 120여개사와 정부 간의 비상 연락망이 구축됐으며, 거래차질 등 수출기업의 애로사항 11건이 정부에 접수돼 10건에 대한 조치가 마무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관계부처가 참여한 가운데 '제25차 통상추진위원회'를 열어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대응 현황과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정부는 상황이 악화될 경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현지 진출기업과 중소·중견 수출기업 지원을 위해 코트라와 무역협회를 중심으로 비상 연락망을 구축하고 애로사항을 실시간 접수 중이다. 현재까지 국내 수출·진출기업은 영향이 제한적이고 사업을 계속 유지한다는 입장이나 사태가 악화되거나 장기화되면 물류 및 거래 차질, 현지 경제활동 제한 등 경영상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 본부장은 "무역, 현지투자, 에너지 수급, 공급망 등 경제·통상에 영향을 미치는 실물경제
분쟁 2개주 제외한 전역에 선포될듯…검문검색 강화·야간통행 제한 우크라이나 의회가 23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침공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비상사태 선포를 승인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우크라이나 의회가 이날 표결을 실시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한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 격인 우크라이나 국방안보위원회는 이날 친러 반군이 통제 중인 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를 제외한 국가 전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올렉시 다닐로프 국방안보위원회 서기(사무총장 격)가 언론 브리핑에서 의회가 48시간 이내에 비상사태 선포를 승인할 것이라고 한 예상에 비춰볼 때 의회가 상황의 긴급성을 고려해 신속한 조처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비상사태 선포 효력은 우크라이나 현지시간 23일 밤 10시부터 30일간 발생하고, 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를 제외한 국가 전역에 적용된다. 상황에 따라 대통령의 결정으로 30일 더 연장될 수 있다. 비상사태가 선포되면 검문 검색이 강화되고 외출이나 야간통행이 금지되는 등 민간인의 자유로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 출입국이 통제되고 일부 정치활동과 파업 등도 금지될 수 있다.
전기·가스 공급 끊기며 지역주민 피해…사상자도 여럿 발생 (루간스크 AP=연합뉴스 현장취재)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정부군과 친러 반군의 교전이 계속되면서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에너지 회사 디텍(DTEK)은 우크라이나 동부 루간스크주 스차스티예 지역의 발전소가 계속되는 포격으로 망가졌다고 밝혔다. 이 여파로 이 지역과 인근에 공급되던 전기와 난방이 끊겨 최소 1만1천500명이 피해를 입었다고 이 회사는 설명했다. 디텍은 예비 회선으로 일부 전력을 복구했지만, 전체 가구에 공급할만한 전기는 부족하다며 "난방에 차질이 빚어지고, 물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발전소에 가해진 포격으로 인해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이 포격이 어디에서 비롯됐는지도 불분명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지난 21일에는 이 지역 천연가스 처리 공장이 반군 지역에서 발사된 포탄에 의해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우크라이나 최대 국영 석유·가스 회사인 나프토가스는 이 폭격으로 해당 지역의 가스 공급이 끊겼지만 폭격을 당한 천연가스 처리 공장이 러시아 가스를 유럽으로 보내는
이탈리아의 재벌 실비오 베를루스코니(Silvio Berlusconi,85) 전 총리가 32세 나이의 새 연인과 결혼할 예정이라고 일간 '리베로' 등 현지 언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베를루스코니는 자신이 설립한 중도우파 정당 '전진 이탈리아(Forza Italia=FI)' 소속 마르타 파시나(Marta Fascina) 하원의원과 2020년께부터 연인 관계를 유지해왔다. 기자 출신인 이 여성은 베를루스코니가 소유한 프로축구 세리에A 명문 클럽 AC밀란의 언론담당으로 활동하다 2018년 총선에서 하원의원에 당선돼 정치권에 진출했다. 두 사람은 2020년 여름 사르데냐섬에 있는 고급 별장에서 손을 잡고 산책하는 모습이 언론 카메라에 포착되면서 연인 사실이 알려졌다. 최근에는 베를루스코니가 소유한 세리에 B의 또 다른 클럽팀 경기에서 키스하는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베를루스코니는 1965년 칼라 달 로지오(Carla Dall'Oglio)와 첫번째 결혼해 20년 뒤인 1985년 이혼했고, 1990년 베로니카 라리오(Veronica Lario)와 두 번째로 결혼해 역시 20년 뒤인 2010년 이혼했으며, 2013년 만난 프란
러시아 루블화 가치도 급락…원유·금·알루미늄·니켈 가격은 상승 러시아의 러시아군 우크라이나 파병 결정으로 우크라이나 사태가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달으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휘청거렸다. 러시아 주식과 루블화 가치, 유럽 주식이 급락한 데 이어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공급 차질 우려에 국제유가와 니켈·알루미늄 등 원자재 가격은 상승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반군이 내세운 두 공화국의 독립을 승인하고 이곳에 평화유지군 파견을 지시했다. 푸틴 대통령이 이날 TV 연설에서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시아 세력을 승인한 뒤 러시아의 대표 주가지수인 MOEX 지수는 10.50% 급락으로 마감했다. 이는 2014년 3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침공 이후 거의 8년 만에 최대 하락 폭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적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통화 가치도 나란히 떨어졌다. 러시아 루블화는 달러 대비 가치가 3.4% 하락했으며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가치는 1% 내려갔다. 루블화 가치는 2020년 3월 이후 하락 폭이 가장 컸다. 범유럽 지수인 유
유가 등 에너지 가격 급등…에너지 자립도 낮은 국내 산업계에 악영향미국의 러시아 제재 시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제한 가능성도유안타증권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전방 산업 IT부품 수요 둔화 가능성"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이 한층 커지면서 국내 산업계에서는 자칫 전방위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가뜩이나 코로나19, 국제유가 상승, 공급망 위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 간 전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면 에너지와 원자재 수급, 수출 등 산업 활동 전반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사태로 가장 큰 우려가 되는 것은 유가 등 에너지 가격 급등이다. 러시아는 주요 원유 생산국이면서 세계 1위의 천연가스 수출국이다.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긴장 고조 영향으로 국제유가는 배럴당 90달러 이상을 찍으며 7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현실화하면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 상황이다. 한국은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아서 유가 급등 시 전 산업계에 악영향이 예상된다. 항공, 철강, 화학, 조선, 자동차, 건설 등
체류 교민 한달 새 565→63명으로 감소…국방부 "이송 요청시 적극 협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돈바스 독립 승인으로 전운이 최고조에 달한 가운데 정부가 우크라이나 현지에 남아있는 교민 60여명의 철수와 안전 확보를 위해 긴급회의를 열었다. 외교부는 22일 오전 최종문 2차관 주재로 우크라이나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긴급 개최하고 국민 긴급 대피 및 철수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최 차관은 주우크라이나 대사와 직접 통화하며 우리 국민의 안전 상황을 점검하고 유사시에 대비해 대응 태세를 유지할 것을 당부했다. 현재 우크라이나에 남아있는 우리 국민의 수는 총 63명이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1월 말 기준으로 한때 600여 명 가까이 계시던 우크라이나 체류 우리 국민이 우리 공관의 적극적인 설득 노력 등에 기인해 오늘 현재 63명까지 줄어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정부는 주우크라이나 대사관을 중심으로 이분들이 최대한 조속하게 안전 지역으로 출국하실 수 있도록 지속 설득해나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관련 노력을 계속 경주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현지시간 21일 오후 6
"우크라 대통령, 러 침공시 서부 리비우 피신" 우크라 소식통 "IT 기반시설·군사 지휘부, 키예프 외곽으로 이전 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현실이 되면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우크라이나 서부 국경도시로 피신시키는 계획이 미국과 우크라이나 정부 사이에 논의되고 있다고 미 NBC방송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 2명을 인용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논의 중인 계획상 전시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피신하는 곳은 폴란드 국경과 80㎞ 떨어진 서부 리비우다. 이달 15일 우크라이나 서부 도시 리비우의 전경[로이터 연합뉴스] 리비우는 우크라이나 서부의 중심 도시로,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 러시아와 대치 중인 서방 세력이 기존 수도 키예프에 주재했던 직원을 이동시킨 곳이다. 우리나라 외교부도 지난 16일부터 이 도시에 임시사무소를 열어 긴급 상황에 대비한 대피·철수 계획을 점검 중이다. 또한, 소식통들은 최근 우크라이나 정부가 러시아 군의 공격 가능성에 신중히 대비 중이며, 중요한 정보통신(IT) 기반 시설과 군사 지휘부를 수도 키예프 외곽으로 이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NYT 외부 기고... "러시아 자극해도 안되고 양보해도 곤란한 상황" 위기의 한 복판에 서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최근 종잡을 수 없는 언행을 보이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달 수도 키예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러시아 침공이 임박했다는 서방의 경고가 우크라이나 경제를 위험에 빠뜨렸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서방 국가들을 향해 위기감 조장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던 그는 지난주에는 러시아 침공 가능성에 대한 서방의 대응이 부족하다면서 즉각적인 제재를 촉구했다. 언제든 러시아 군대의 공격을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국가 지도자가 정반대의 메시지를 발신하면서 오히려 혼란을 가중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모습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오늘 아침(21일) 젤렌스키 대통령을 비판하는 우크라이나 언론인의 외부기고를 게재했다. 우크라이나의 뉴스사이트 키예프 인디펜던트의 올가 루덴코 편집장은 '코미디언 출신 대통령에게 감당이 안 되는 상황'이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능력을 문제 삼았다. 루덴코 편집장은 코미디언 출신인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2019년 당선됐을 때만 해도 정치권의 부패를
우크라 위기 와중 긴급 안보회의…독립 승인시 우크라와 전면전 위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분리주의자들이 선포한 자칭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의 독립 승인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리아노보스티 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소집한 확대 국가안보회의에서 두 공화국의 독립 승인 요청을 염두에 두고 돈바스 지역 분쟁 격화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을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푸틴 대통령은 TV를 통해 생중계된 회담 모두 발언을 통해 이같이 제안하면서 DPR과 LPR 승인은 국제 및 유럽 안보 문제와 긴밀히 연관돼 있다고 강조했다. 러시아가 실제로 두 공화국의 독립을 승인하면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싸우는 분리주의 공화국 반군에 공개적으로 군대를 파견하는 길이 열리게 된다. 그같은 러시아의 행보는 두 공화국의 독립 추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와의 전면적 무력 충돌을 야기할 위험성도 있다. 앞서 이날 돈바스 지역 분리주의 공화국 정부 수장들은 푸틴 대통령에게 공화국들의 독립 승인을 요청했다. LPR 정부
시드니 인근 조그만 해안가...상어 공격 사망사고는 59년만 호주 시드니 인근에서 몸길이가 최소 3m로 추정되는 백상아리에 사람이 물려 죽는 사고가 발생해 주변 해변이 줄줄이 폐쇄됐다. 17일 로이터·AFP통신에 따르면 전날 오후 시드니에서 남쪽으로 20㎞ 정도 떨어진 리틀베이 비치에서 수영하던 남성이 상어에 공격을 당해 목숨을 잃었다. 백상아리에게 복부를 물어뜯겨 사망한 희생자는 35세의 다이빙 강사 사이먼 넬리스트(Simon Nellist)로 알려졌다. 목격자들은 몸길이가 짧아도 3m는 되는 백상아리였다고 증언했다. 구조 헬기와 구급차 4대가 급파됐으나 피해자는 결국 숨을 거뒀으며 구조당국은 피해자가 끔찍하게 다친 상태였다고 전했다. 주변에서 골프를 치거나 물고기를 잡던 이들이 참혹한 현장을 목격했으며 상어가 피해자를 공격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 온라인으로 퍼져나가기도 했다. 사고가 발생한 지역의 딜런 파커 시장은 "그런 몸서리쳐지는 상황에서 발생한 비극적 사망사고는 완전히 충격적"이라고 탄식했다. 시드니 인근 해변에서 상어의 공격으로 사람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벌어진 것은 1963년 이후 5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