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호주에서 내달부터 16세 미만 아동·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이 차단되는 가운데 메타가 해당 연령대 이용자의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 이용을 막기로 했다.
20일 AFP·블룸버그 통신과 가디언 호주판 등에 따르면 메타는 성명을 내고 소셜미디어 차단 정책이 시행되는 내달 10일까지 16세 미만 이용자의 페이스북·인스타그램·스레드 계정을 삭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타는 이를 위해 해당 이용자들에게 곧 계정을 쓸 수 없게 된다고 안내하는 메시지를 보내기 시작했다. 이들은 16세가 되면 기존 계정을 되살려서 다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호주 정부 통계에 따르면 호주에서 인스타그램은 약 35만 명, 페이스북은 약 15만 명의 16세 미만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메타는 다양한 기법을 활용해 16세 미만 이용자를 가려내고 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구분 방식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는 해당 이용자들이 차단 조치를 우회하는 방법을 알아내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개인정보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령 확인 방식에 "상당한" 오차 범위가 있어 16세 이상 이용자가 차단 대상으로 잘못 분류될 가능성도 있다고 예고했다.
이처럼 메타가 실수로 16세 이상을 차단할 경우 이용자는 정부 발급 신분증이나 자신의 얼굴 셀카 영상을 제공해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다.
앞서 지난해 11월 호주 의회는 16세 미만 이용자의 소셜미디어 이용을 차단하고 이에 따르지 않는 소셜미디어 기업에 최대 4천950만 호주달러(약 471억원)의 벌금을 부과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대해 메타는 법을 따르겠다면서도 "우리는 안전하고 연령에 맞는 온라인 경험을 제공하려는 호주 정부의 목표에 공감하지만, 청소년들을 친구·공동체로부터 단절시키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다"라며 불만을 나타냈다.
또 모든 16세 미만 이용자를 차단하는 대신에 자녀가 어떤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지 부모가 직접 관리하는 등 더 나은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호주의 아동·청소년 소셜미디어 차단 조치를 앞두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밝힌 기업은 메타가 처음이다.
중국 바이트댄스의 짧은 영상 플랫폼 틱톡, 미국 스냅챗은 해당 조치를 따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유튜브와 엑스(X·옛 트위터)는 해당 법에 반대 의사를 나타냈지만, 준수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호주가 세계 처음으로 미성년자의 소셜미디어 이용 제한에 나선 가운데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한 조치를 도입하는 움직임이 나온다.
뉴질랜드의 크리스토퍼 럭슨 행정부도 호주와 비슷한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며, 덴마크 정부도 15세 미만의 소셜미디어 이용 금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