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한국과 미국이 '25% 상호관세' 부과일(8월1일)을 코 앞에 두고 관세협상을 극적 타결했다.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 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면서 대미 상호관세는 15%로 하향조정된다. 조선 협력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와 관련한 1천500억 달러와 핵심광물 등 경제안보 지원을 위한 2천억 달러의 금융 패키지를 포함해 총 3천500억 달러(약 487조원)의 대미투자 등을 조건으로 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를 낮추기로 했다. 한미는 2주 이내 정상회담 개최에도 뜻을 모았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대면에서 이번 협상의 세부 내용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미국시간)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 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상호관세를 15%로 정하는 내용의 양국간 무역협상이 타결됐다고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았을 경우 8월 1일부터 25%의 고율 관세를 물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이를 10% 포인트 낮춘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과 만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이재명 정부가 1일 검찰 고위간부 인사를 전격 단행했다. '검찰 개혁'을 이끌 법무부 장관 후보자 지명과 민정수석, 법무부 차관 인선을 마치자마자 속전속결로 검찰 후속 인사에 나선 것이다. 특히 이날은 심우정 검찰총장이 취임 9개월여만에 사의를 표명한 사실이 알려진 날이기도 하다. 법무부는 이날 대검검사급(검사장) 검사 3명에 대한 신규 보임 및 대검검사급 검사 4명, 고검검사급(차장·부장검사) 검사 2명에 대한 전보 인사를 4일 자로 시행했다고 밝혔다. 총장·차장이 모두 떠난 대검에는 노만석 검사장이 승진해 차장으로 보임됐고, 임은정 부장검사가 검사장으로 수직 상승해 서울동부지검장으로 가게 됐다. 검찰 '2인자' 대검찰청 차장(고검장급)에는 노만석(사법연수원 29기) 대검찰청 마약·조직범죄부장이 임명됐다. 노만석 신임 차장은 처신이 신중하고 진중한 스타일로 통한다. 검찰총장이 공석이 된 상태에서 대검을 이끌면서 검찰개혁 분위기 속에 흔들리는 검찰 조직을 임시로 이끄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정부 시절 법무부 감찰담당관을 역임했고, 박근혜 정부의 계엄령 의혹을 파헤쳤다. 광주지검·인천지검 특수부장을 지냈고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한국과 미국이 '25% 상호관세' 부과일(8월1일)을 코 앞에 두고 관세협상을 극적 타결했다.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 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면서 대미 상호관세는 15%로 하향조정된다. 조선 협력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와 관련한 1천500억 달러와 핵심광물 등 경제안보 지원을 위한 2천억 달러의 금융 패키지를 포함해 총 3천500억 달러(약 487조원)의 대미투자 등을 조건으로 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를 낮추기로 했다. 한미는 2주 이내 정상회담 개최에도 뜻을 모았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대면에서 이번 협상의 세부 내용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미국시간) 한국이 미국에 3천500억 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상호관세를 15%로 정하는 내용의 양국간 무역협상이 타결됐다고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았을 경우 8월 1일부터 25%의 고율 관세를 물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이를 10% 포인트 낮춘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과 만
KoreaTV.Radio 김재권 기자 | 유럽연합(EU) 지도부가 미국과 관세 협상에서 15% 관세율을 합의해오자 주력 산업이 다른 회원국 간 반응이 엇갈렸다. EU는 기본 관세 10%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1일을 데드라인으로 정하고 30% 관세를 압박하자 15% 선에서 타협을 봤다. 그나마 항공기, 반도체 장비, 핵심 원자재 등 일명 '전략적 품목' 일부에 대해서는 상호 간 관세를 물리지 않기로 한 것이 최대 성과로 꼽힌다. 전면 무관세를 기대했던 회원국 사이에선 이번 합의가 불균형하다는 반발이 터져 나왔다. 반면 이번 합의로 최악의 상황은 피하게 된 회원국은 안도하며 협상 결과를 호평했다. ◇ 자동차 관세 27.5%→15%로…한숨 돌린 독일 자동차가 수출 주력 업종인 독일은 15% 관세에 크게 안도하는 모습이다. 독일은 지난해 해외에 총 340만대(약 1천350억 유로 규모·218조여원)의 차량을 수출했다. 미국은 이 가운데 13.1%를 수입한 해외 최대 시장이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 업계 보호를 명분으로 지난 4월 초부터 EU산 자동차에 기존 2.5%에서 25%포인트 올린 27.5%의 관세를 부과했다. 독일
$14.49
$10.39
$21.99
$6.99
$11.99
$21.90
$5.97
$3.87
$21.20
$21.99
$13.59
$6.69